통일교 수장, 법정 구속… '윤석열 정권 커넥션' 수사 본격화
윤석열 정부와 통일교 간의 유착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구속되었습니다. 이는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정교유착 의혹'의 정점으로 한 총재를 지목한 데 따른 것입니다. 3대 특검 수사를 통해 종교계 지도자급 인사가 구속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수사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속 사유는 '증거 인멸 염려'… 법원, 특검 손 들어줘
서울중앙지법은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는 이유로 한 총재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습니다. 특검팀은 420쪽 분량의 의견서와 220여 쪽 분량의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통해 구속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한 총재 측은 윤영호 씨의 개인 일탈이라고 주장하며 혐의를 부인했지만, 법원은 특검팀의 주장을 받아들였습니다. 이는 사건의 중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한학자 총재, 혐의는?
한 총재는 ①통일교 전 세계본부장인 윤영호씨와 공모해 2022년 1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윤석열 정부의 통일교 지원을 요청하며 1억 원을 전달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를 받았습니다. ②같은 해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그라프(Graff)사 목걸이와 샤넬 가방 2개 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하는 데 관여한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도 있습니다. ③이런 범행들에 통일교 재단 자금을 사용한 혐의(업무상횡령·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도 구속영장에 적시됐습니다. ④2022년 교단 지휘부의 '미국 원정도박' 수사 소식을 윤씨를 통해 권 의원에게서 전해 듣고, 회계자료 등 증거인멸을 지시한 혐의(증거인멸교사)도 포함되었습니다.
구속 기로에 선 비서실장, 구속은 면해… 수사 방향은?
한 총재의 비서실장을 지낸 정원주 씨는 구속을 면했습니다. 법원은 '공범임이 충분히 소명됐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책임 정도에 대해 다툴 여지가 있는 점, 방어권 제한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기각 사유를 밝혔습니다. 특검팀은 권 의원에 대한 추가 금품 공여 의혹, 통일교인 무더기 국민의힘 입당 의혹 등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한 총재가 2022년 2월 권 의원에게 세뱃돈 100만 원을 건넨 사실을 진술한 만큼, 수사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사 확대 전망…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개입 의혹도
특검팀은 최근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특정 기간 국민의힘 입당 통일교인(추정) 명단'을 정밀 분석한 뒤, 한 총재 등에게 '2023년 3월 치러진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개입한 혐의(정당법 위반)'도 추가 적용해 재판에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수사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정치권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핵심만 콕!
한학자 통일교 총재 구속으로 '정교유착' 의혹 수사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법원은 증거 인멸 염려를 구속 사유로 밝혔으며, 특검팀은 추가 수사를 통해 의혹을 규명할 계획입니다.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개입 의혹까지 제기되며, 수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궁금증 해결!
Q.한학자 총재 구속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윤석열 정부와 통일교 간의 유착 의혹에 대한 수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종교계 지도자급 인사의 구속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수사가 정치권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Q.특검팀은 어떤 혐의를 조사하고 있나요?
A.정치자금법 위반, 청탁금지법 위반, 업무상횡령, 증거인멸교사 등 다양한 혐의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개입 의혹에 대한 수사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Q.앞으로 수사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A.특검팀은 추가 조사를 통해 혐의를 입증하고,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개입 의혹에 대한 수사 결과에 따라 정치권에 큰 파장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억 헌금, 코인에 날린 성당 사무장… 믿음의 그림자 속 숨겨진 이야기 (0) | 2025.09.23 |
---|---|
잇섭, 폰케이스 품질 논란에 '판매 중단'…소비자 보상안은? (0) | 2025.09.23 |
히말라야 폭죽 쇼, 아크테릭스의 자충수: 42% 매출 급증 뒤 가려진 환경 파괴 논란 (0) | 2025.09.23 |
고성과 막말로 얼룩진 법사위, 정부조직법 통과… 정쟁의 소용돌이 속 해법은? (0) | 2025.09.22 |
고물가 시대, 10만원 소비쿠폰이 가져온 따뜻한 변화: 추석 앞둔 민생에 활력을 불어넣다 (0) | 202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