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의 짧은 방한, APEC 불참 가능성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9일 방한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의장국을 맡은 APEC 본 행사에는 참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APEC 본 행사 전에 출국하는 일정으로, 미·중 정상회담에 집중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미·중 정상회담, 경주에서 열릴까?
트럼프 대통령은 26~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27~29일 일본을 방문해 새로 선출된 총리와 정상회담을 할 예정입니다. 이후 29일 오전 김해공항을 통해 입국해 경주로 이동, 이재명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할 전망입니다. 이튿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미·중 정상회담을 마치고 오후쯤 출국하는 일정이 유력합니다. 이러한 일정은 미·중 갈등 속에서 외교적 접점을 마련하려는 시도로 보입니다.
APEC 무시? 동맹 균형 흔들릴 수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무박 혹은 1박 2일로 확정된다면 일반적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미국 대통령이 한·일을 연달아 방문할 때는 통상 일정의 균형을 고려하지만, 일본에서는 특별한 현안이 없음에도 2박 3일 머무는 반면 한국에서는 APEC이 열리는데 본 행사에 참석하지 않는다면 동맹 관계의 균형이 흔들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APEC의 의미 퇴색, 한국 외교에 미치는 영향
경주가 미·중 담판의 장소로만 쓰이게 된다면 APEC의 의미가 반감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올해 APEC은 계엄·탄핵 국면 이후 한국이 처음으로 주최하는 다자 정상회의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사 불참은 이런 구상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 될 수 있으며, 시 주석이 APEC 본행사에 참석할 경우 한국은 외교적으로 난처한 입장에 놓일 가능성이 큽니다.
시진핑 방한도 불투명, 한·중 관계의 과제
당초 정부는 시 주석에 대해서도 2014년 이후 11년 만의 국빈 방한을 추진했지만, 이 구상도 현재 불투명해진 분위기입니다. 최근 중국이 서울 신라호텔 대관을 취소한 것 역시 시 주석의 방한 일정 조정과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현재 양국 간 합의할 사안이 많지 않다는 점과 북한 문제, 중국 내 정치 일정을 고려하면 시 주석의 방한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북·중·러 밀착, 한반도 외교의 복잡성 심화
오는 10일 평양에서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지난달 초 베이징 전승절 행사에 이어 북·중·러 삼각 공조가 다시 부각될 것으로 보여 외교 정세는 한층 복잡해졌습니다.
핵심만 콕!
트럼프 대통령의 짧은 방한과 APEC 불참 가능성은 한반도 외교 지형에 여러 변수를 던지고 있습니다. 미·중 정상회담에 집중하려는 의도로 보이나, APEC의 의미 퇴색과 동맹 균형에 대한 우려도 제기됩니다. 시진핑 주석의 방한 불투명, 북·중·러 밀착 등 복잡한 외교 정세 속에서 한국은 정교한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트럼프 대통령이 APEC에 불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미·중 정상회담에 집중하고, APEC보다는 양자 회담을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스타일 때문으로 보입니다.
Q.APEC 불참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APEC의 의미가 퇴색되고, 동맹 관계의 균형이 흔들릴 수 있으며, 한국의 외교적 입지가 난처해질 수 있습니다.
Q.앞으로 한반도 외교는 어떻게 전개될까요?
A.미·중 간의 균형을 유지하고, 북·중·러 관계를 고려하며, 정교한 외교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만 명의 '탈출': 위태로운 아이들, 턱없이 부족한 쉼터, 그리고 절실한 도움의 손길 (0) | 2025.10.09 |
---|---|
미국 셧다운, 끝나지 않는 갈등: 상원, 임시 예산안 또 부결 (0) | 2025.10.09 |
명절 헬스 논란: 시댁에서 헬스장, 죽을 죄인가요? (0) | 2025.10.09 |
구글 제미나이, '나노 바나나'로 챗GPT 맹추격: 이미지 변환 기술로 AI 시장 판도 흔들다 (0) | 2025.10.08 |
비트코인, 연일 최고가 경신 후 급락…과열된 시장, 조정의 신호탄? (0) | 202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