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킬빌 속 노란 추리닝, 알고 보니… 1000년 전 '오마주'의 숨겨진 뜻

뉴원101 2025. 7. 13. 19:14
반응형

영화 '킬빌'과 이소룡, 그리고 '오마주'

영화사에 길이 남을 작품 중 하나는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킬빌’일 것이다. 노란 체육복을 입고 일본 사무라이처럼 칼을 휘두르는 주인공 베아트릭스의 모습은 여전히 시네필(영화애호가)의 머릿속에 깊이 각인돼 있다. ‘킬빌‘은 명작 영화를 ‘오마주’(재해석으로 존중을 표시하는 것)한 것으로 유명하다.

 

 

 

 

1000년 전 '오마주'의 기원

오마주란 단어는 영화를 비롯한 예술계에서 처음 나타난 건 아니었다아주 오래전, 1000년 전부터 생겨난 단어였기 때문이다. 지금과는 그 용법도 매우 달랐다.

 

 

 

 

봉건제도와 함께 탄생한 '오마주'

서기 800년대 유럽. 지금이야 유럽하면 낭만적 도시의 이미지를 떠올리지만 당시에는 상황이 달랐다. 바이킹, 마자르족 등 야만족들의 침략에 시달려서였다. 하루가 멀다하고 전쟁이 벌어졌다. 삶의 풍요로움보다 죽음의 척박함이 기본값인 시절이었다.

 

 

 

 

영주, 충성 서약 그리고 '오마주'

왕들은 할 수 없이 묘안을 냈다. 봉건제도였다. 귀족들에게 토지를 나눠주고 그곳의 방위를 맡게끔 했다. 세금을 걷을 수 있는 권리까지 함께였다. 한 지역의 지도자로 만든 것인데, 이 귀족들을 영주라 했다. 영주는 대신 나라에 큰 전쟁이 나면 왕을 도와야 하는 충성 서약을 맺었다이때의 충성 서약이 오마주(homage)였다.

 

 

 

 

노르망디 공작 롤로와 서유럽판 이이제이

가장 대표적인 영주가 ‘노르망디 공작’ 롤로였다. 9세기 바이킹의 침략에 시달리던 프랑스 왕 샤를 3세가 큰 결단을 내리는데, 롤로라는 이름의 바이킹을 프랑스 북서쪽 지방 영주로 삼는 것이었다. 대신에 다른 바이킹의 침략을 막으라고 명령했다.

 

 

 

 

잉글랜드 왕이 된 노르망디 공작, 그리고 갈등의 시작

약 200년 후, 프랑스 왕실에 놀랄만한 소식이 전해졌다. 노르망디 공작이 바다 건너 잉글랜드를 정벌했다는 것. 노르망디 공작이었던 윌리엄은 이제 어엿한 잉글랜드의 왕이었다(정복왕 윌리엄).그러나 그는 매년 프랑스 왕에게 오마주를 바쳐야 하는 신하기도 했다.

 

 

 

 

오마주가 부른 파국, 그리고 오늘날의 의미

봉건제도는 완전히 폐지됐지만, 용어는 문화예술계로 이어졌다충성 서약이라는 본 뜻과는 달리 누군가를 향한 존중이라는 표현으로 그 의미가 변용됐다. ‘인사가 만사다’라는 우스갯소리, 결코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니었던 셈.

 

 

 

 

킬빌 속 오마주의 숨겨진 역사, 그리고 오늘날의 의미

영화 '킬빌' 속 노란 추리닝은 이소룡에 대한 오마주였고, 이는 1000년 전 봉건 시대의 충성 서약에서 비롯된 '오마주'의 변형된 형태입니다. 잉글랜드 왕과 프랑스 왕의 갈등은 오마주를 통해 더욱 심화되었고, 오늘날에는 존중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오마주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A.원래는 봉건 시대의 충성 서약을 의미했지만, 현재는 존경과 존중을 표현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Q.킬빌의 노란색 체육복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A.무협 영화의 전설적인 배우 이소룡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한 것입니다.

 

Q.잉글랜드 왕이 프랑스 왕에게 오마주를 바쳐야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A.노르망디 공작이었던 윌리엄이 잉글랜드를 정복한 후에도 노르망디 지역을 소유했기 때문입니다. 프랑스 왕에게 충성 서약을 하지 않으면 노르망디를 빼앗길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