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의 시작: 내란 재판 증인 출석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은 자신의 메모 관련 질문을 비롯해 대부분 질문에 자신의 형사재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며 진술을 거부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속행 공판에 출석했습니다. 사건의 핵심 증인으로 나선 여 전 사령관의 진술 거부는 재판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며,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논란의 메모: 여인형의 주장
여 전 사령관은 법정에서 자신이 평소 메모를 썼다 지웠다 하는 습관이 있다며 논란이 된 메모들 역시 혼자 끄적거린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이재명과 한동훈, 조국 등 이름이 적힌 계엄 당시 체포 명단에 대해선 누군가에게 들어서 메모한 것 같다면서도 누구한테 들었는지는 증언을 거부했습니다. 그의 주장은 메모의 진위 여부와 그 배경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키며, 재판의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특검의 증거 제시와 여 전 사령관의 반응
특검은 여 전 사령관이 과거 '중견간부 이상이 자발적으로 동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라고 기재한 메모를 제시했습니다. 이에 대해 여 전 사령관은 “중견간부 이상이 계엄에 동의하는 사람이 있겠느냐. 저 메모 하나 보고 동의하게 했다는 견강부회 같은 말에 억장이 무너진다”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그의 격앙된 반응은 메모 내용에 대한 그의 입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재판 과정에서의 긴장감을 고조시켰습니다.

윤 대통령의 발언과 계엄 가능성 언급
여 전 사령관은 또 “윤 전 대통령이 작년 5∼6월 삼청동 안가에서 비상대권과 계엄을 언급했고, 자신은 당시 '불가능하다는 군의 실태를 말씀드렸다'”고 증언했습니다. 그는 작년 5∼6월 윤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의 안가 저녁 자리에서 “대통령이 감정이 격해졌는데 헌법이 보장한 '대권 조치' 그런 말도 했고 그 와중에 계엄도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증언은 당시 상황의 심각성을 드러내며, 계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을 다시 불러일으켰습니다.

계엄의 불가능성을 역설
여 전 사령관은 “사회가 혼란하면 군이 동원될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천만의 말씀이다. 계엄은 개전 초기에 발령되는데 육군 30만 중에 계엄에 동원될 사람은 없다”며, “전시도 그럴진대 평시에 무슨 계엄을 하나. 훈련해본 적 없고 한 번도 준비한 적이 없다. 아무리 헌법이 보장한 계엄이라고 해도 군은 불가능하다는 실태를 말씀드렸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의 주장은 계엄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강조하며, 당시 상황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무릎을 꿇은 여인형, 그리고 그 의미
여 전 사령관은 이어 일개 사령관이 무례한 발언을 했다는 생각에 윤 전 대통령에게 무릎을 꿇었다며 자신에게도 충격적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계엄 당시 김 전 장관으로부터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 등 주요 인사 10여 명에 대한 체포 구금을 지시받고 체포조를 편성·운영한 혐의로 군사법원에서 재판받고 있습니다. 그의 행동은 당시 상황의 긴박함과 그의 심경을 짐작하게 하며, 재판의 또 다른 쟁점으로 부상했습니다.

핵심 정리: 증언 거부와 메모, 그리고 계엄 논란
이번 내란 재판에서 여인형 전 사령관의 증언 거부는 사건의 핵심 쟁점들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메모의 진위 여부, 윤 대통령의 발언, 그리고 계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은 재판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여 전 사령관의 증언과 관련된 모든 정보는 앞으로 진행될 재판에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여인형 전 사령관이 증언을 거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자신의 형사재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Q.논란이 된 메모는 어떤 내용인가요?
A.이재명, 한동훈, 조국 등 주요 인사의 이름이 적힌 계엄 당시 체포 명단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Q.여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에게 왜 무릎을 꿇었나요?
A.일개 사령관으로서 무례한 발언을 했다는 생각에 대한 사과의 의미였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양양군 공무원 '계엄령 놀이' 충격! 갑질 횡포에 시민 분노 폭발 (0) | 2025.11.24 |
|---|---|
| 가을비와 함께 찾아온 추위: 예상 강수량과 급격한 기온 변화, 그리고 건강 관리 (0) | 2025.11.24 |
| 백종원, '방송 중단' 영상 삭제 후 복귀 시동? 더본코리아 실적 부진 속 행보는? (0) | 2025.11.24 |
| 우도 천진항, 60대 운전자 차량 돌진 사고: 3명 심정지, 10명 중경상 (0) | 2025.11.24 |
| 260만원 로저비비에, 김기현 부인이 김건희에게? 충격적인 단독 보도 (0) | 202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