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행 실패 지적하는 日 언론, 3년 전 굴욕은 잊었나?
2025년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흥행에 대해 일본 언론이 의문을 표했다. 다만 3년 전 일본 대회는 더욱 심각했다. 일본의 일방적인 주도하에 흘러가는 흐름이었다. 일본은 15일 열리는 대한민국과의 3차전에서 최종 순위를 정하게 될 예정이다. 일본 언론은 경기 결과보다 다른 부분에 주목했다. 바로 관중석이었다. 일본의 스포니치아넥스는 '중국전 관중 수는 1661명이었다. 일본과 중국의 경기가 열린 용인미르스타디움은 3만7000명이 수용 가능한 경기장이다. 다만 홍콩전에는 687명이었다. 일부 SNS에서는 관중석이 놀랄 정도로 텅 비었다. 해외파가 없으면 아무도 오지 않나 등의 반응이 나왔다'고 전했다.
텅 빈 관중석, 일본 언론의 날카로운 시선
일본의 닛칸스포츠도 '이날도 빈자리가 꽤 눈에 띄었다. 휴일이라는 것이 영향에 미쳤는지 겨우 네 자리 수에 도달했다'고 했다. 일본의 사커다이제스트웹은 '일본과 홍콩전 687명에 비해 1000명 가까이 늘었다고 해도, 공석이 매우 눈에 띄었다. 참고로 지난 2022년 일본 경기의 관중 추이는 홍콩전 4980명, 중국전 1만526명, 한국전 1만4117명이었다'라며 지난 대회보다 관중 흥행에 실패했다는 듯한 의견을 남겼다. 이번 대회 관중 성적이 뛰어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개최국' 한국과 중국의 경기 조차 4426명에 그쳤다.
3년 전 일본 대회, '대회 역사상 최악' 흥행 실패
다만 일본 언론이 흥행 문제를 지적하는 것은 3년 전 일본에서 열렸던 2022년 대회 성적을 고려하면 내로남불에 가깝다. 당시 일본에서 열린 동아시안컵에서 자국 경기에 관심이 있는 일본의 경기에는 일부 적지 않은 관중이 오기도 했으나 다른 국가들 간의 경기 흥행 성적은 참담했다. 특히 일본 아이치현 도요타시 도요타스타디움에서 한국과 중국의 경기는 단 214명의 관중만이 경기장을 방문했다. 이는 대회 역사상 최악의 관중 동원 기록이었다.
흥행 부진, 한국만의 문제일까?
동아시안컵의 흥행 부진이 한국만의 문제로 지적하는 것은 그간 대회들의 성적을 고려하면 지나친 해석이다. 유럽파 차출 불가, 평일 경기 일정, 무더운 날씨 등을 고려하면 흥행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핵심 요약: 日 언론의 한국 흥행 지적, 3년 전 자국 대회 참담한 흥행 성적과 비교
일본 언론이 한국에서 열린 동아시안컵 흥행 부진을 지적했지만, 3년 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214명 관중'이라는 최악의 기록을 세운 점을 간과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유럽파 차출 불가, 평일 경기, 무더운 날씨 등 흥행 부진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일본 언론이 한국의 흥행 부진을 지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2025년 동아시안컵 흥행 부진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면서, 관중 동원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Q.3년 전 일본 대회에서 관중 동원 기록은 어떠했나요?
A.한국과 중국의 경기에서 214명의 관중만이 방문하며, 대회 역사상 최악의 기록을 세웠습니다.
Q.흥행 부진의 다른 요인은 무엇인가요?
A.유럽파 선수 차출 불가, 평일 경기 일정, 무더운 날씨 등이 흥행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년 동행, 눈물의 작별: KT 위즈, 쿠에바스에게 은퇴식급 예우를 바치는 이유 (0) | 2025.07.13 |
---|---|
플로리얼, 불확실한 미래에도 빛나는 프로 정신: 올스타전 자진 참석, 팬들을 감동시키다 (0) | 2025.07.13 |
日 축구 '공포'…18세 초신성, 중국 깡패 축구에 발목 부상 위기! 지브릴 시세 악몽 재현? (0) | 2025.07.13 |
김원중, '장발' 변신과 함께 다짐한 후반기 활약: 롯데의 뒷문을 굳건히 지키다 (0) | 2025.07.13 |
손흥민, 토트넘 복귀! 거취는? 사우디행? 페네르바체행? 축구 팬들의 시선 집중 (0)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