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가 안보 2

KAIST 교수 149명에게 연봉 4억 제안? 중국의 기술 탈취 시도,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중국의 거침없는 과학 인재 영입 시도, 그 배경은?중국이 국내 대표 과학기술 분야의 핵심 인재들을 대상으로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영입을 시도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초 KAIST 교수 149명이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는 명목 하에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이메일에는 연간 200만 위안(약 4억원)의 급여와 주택, 자녀 학자금 지원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죠. 이는 KAIST 전체 교수의 약 22%에 해당하는 규모로, 중국의 적극적인 인재 영입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4억 연봉, 매력적인 제안? 중국의 숨겨진 의도중국이 이처럼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기술 탈취를 위한 전략의 일환인 셈인데요. 과거 ‘천인 계획..

이슈 2025.10.25

KT 통신망 뚫은 불법 기지국, 중국산 부품 사용 확인! 국가 기반 위협 가능성 제기

사건의 전말: 중국산 불법 기지국이 KT 통신망을 뚫다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범행 도구인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의 출처가 중국으로 확인되면서, 국가 기반 시설의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A씨와 B씨가 사용한 불법 펨토셀을 구성하는 20여 개 네트워크 부품 상당수가 중국산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KT가 미수거한 펨토셀을 탈취해 개조한 것이 아니라, 중국산 부품을 활용해 불법적으로 제작된 장비임을 시사합니다. 중국산 부품의 위험성: 단순 금융 피해를 넘어선 국가적 위협전문가들은 KT 통신망이 국내 인증 장비가 아닌 중국에서 건너와 개조된 장비에 뚫렸다는 사실 자체에 주목하며, 국가적 위협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김자원 대진대 스마트융합보안학과 교수는 ..

이슈 2025.10.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