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김예원 변호사, 박지원 의원 장애 언급 사과: 진심 어린 반성과 재발 방지 약속

뉴원101 2025. 7. 11. 12:13
반응형

사건의 발단: 공청회에서의 부적절한 발언

지난 9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공청회에서 김예원 변호사가 박지원 의원의 장애를 언급하며 부적절한 발언을 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김 변호사는 검찰개혁 법안 관련 토론 중 박 의원의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박 의원의 신체적 특징을 언급했습니다. 이 발언은 현장에 있던 많은 이들에게 당황스러움을 안겨주었고, 이후 김 변호사의 사과로 이어졌습니다.

 

 

 

 

김예원 변호사의 사과: 진심 어린 반성과 해명

김예원 변호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박지원 의원에게 직접 사과하며, 자신의 발언에 대한 진심 어린 반성을 표했습니다. 김 변호사는 “전적으로 제 잘못”이라며 자신의 부적절한 언행을 인정했습니다. 그는 박 의원에게 직접 사과했으며, 박 의원 또한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김 변호사는 “순간적으로 ‘제가 하는 일을 오해하시는 것 같으니 배경을 설명드려야겠다’는 생각을 해버린 것”이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사과 외의 설명: 김 변호사가 말하고자 했던 본질

김 변호사는 자신의 발언 의도를 해명하며, 당시 말하고자 했던 바를 밝혔습니다. 그는 ‘저도 태어날 때부터 장애인이 됐지만 공부도 잘하고 목소리도 커서 차별당한 적이 거의 없다가 공익변호사 활동을 한 이후부터 사회에 투명인간 취급당한 장애인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제도의 설계는 잘 보이지 않는 사람도 감안해서 세심하게 설계돼야 한다’는 취지로 말을 하려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시간 제약으로 인해 자신의 의도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했음을 인정했습니다.

 

 

 

 

김 변호사의 활동: 장애인 인권 변호사로서의 행보

김예원 변호사는 2012년부터 변호사 활동을 시작하여 장애인 인권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에 힘써왔습니다그는 현재 장애인권법센터 대표 변호사로 활동하며, 장애인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과는 별개로, 김 변호사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변호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습니다.

 

 

 

 

사건의 파장과 교훈: 공적 발언의 중요성

이번 사건은 공적인 자리에서 발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타인의 신체적 특징을 언급할 때는 더욱 신중해야 하며, 발언의 의도와 상관없이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김 변호사의 사과와 반성은 이러한 교훈을 되새기게 합니다.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과 사회적 책임

김예원 변호사는 자신의 경솔한 언행으로 상처받은 모든 이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며,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습니다그는 자신의 진심이나 진짜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이었든 간에 어제의 잘못을 줄일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앞으로 더욱 신중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로 공적인 활동에 임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핵심 요약: 김예원 변호사, 박지원 의원 장애 언급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김예원 변호사가 국회 공청회에서 박지원 의원의 장애를 언급한 것에 대해 사과하며, 자신의 부적절한 발언에 대한 깊은 반성과 재발 방지를 다짐했습니다. 그는 장애인 인권 변호사로서의 활동을 이어가며, 앞으로 더욱 신중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김예원 변호사는 왜 박지원 의원의 장애를 언급했나요?

A.김 변호사는 자신의 발언이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하여, 당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박 의원의 장애를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부적절한 행동이었음을 인정하고 사과했습니다.

 

Q.김예원 변호사는 앞으로 어떤 활동을 할 예정인가요?

A.김 변호사는 장애인 인권 변호사로서의 활동을 지속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법률 및 제도 개선에 힘쓸 것입니다. 또한, 이번 사건을 계기로 더욱 신중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로 공적인 활동에 임할 것입니다.

 

Q.이번 사건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요?

A.공적인 자리에서 발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타인의 신체적 특징을 언급할 때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또한, 자신의 발언이 타인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