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국민연금 개혁에 뿔났다: '더 내고 더 받는' 연금, 신뢰 회복 과제
MZ세대의 불안, 연금 개혁의 시급성을 말하다
지난 3월 보험료율을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43%로 상향하는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이 18년 만에 국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하지만 이 극적인 타결에 앞서, 미래 세대인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는 이미 온라인상에서 '고갈'과 '개혁'을 외치며 연금 제도의 미래에 대한 깊은 불안감을 표출해왔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MZ세대의 목소리를 대변하다
국민연금연구원이 발표한 '국민연금 인식에 대한 키워드 분석' 보고서는 이런 MZ세대의 속내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오늘(8일)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국민연금 관련 담론은 2018년을 기점으로 2023년에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논의의 핵심은 '연금개혁'으로 뚜렷하게 모아졌습니다.
기금 소진에 대한 청년층의 불안, 수치로 확인되다
실제로 연구진이 서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 커뮤니티와 디시인사이드, 네이트판 등 개방형 커뮤니티의 게시글을 분석한 결과, 청년층의 관심은 수치로도 확인됐습니다. 대학 커뮤니티의 관련 게시글은 2018년 117건에서 2023년 996건으로 8.5배 급증했으며, 같은 기간 개방형 커뮤니티에서도 143건에서 613건으로 4.3배 늘어났습니다.
세대 간 연금 부담과 제도 신뢰 문제
주제별 모델링 분석 결과, 대학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주로 ▲ 국민연금 납입과 수령 ▲ 제도에 대한 신뢰 문제 ▲ 기금 운용 ▲ 연금개혁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개방형 커뮤니티에서는 ▲ 세대 간 연금 부담 ▲ 노후소득 보장 ▲ 재정 안정성과 지속가능성 ▲ 연금개혁 등이 주요 주제로 도출됐습니다.
MZ세대가 느끼는 깊은 불신과 극단적인 키워드
이번 연구는 MZ세대의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이 막연한 불만이 아니라, 기금 고갈이라는 현실적인 위협에 기반한 구체적인 우려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들이 사용하는 "이민", "폰지사기", "폐지"와 같은 극단적인 키워드는 현행 제도에 대한 깊은 불신을 드러냈습니다.
연금 개혁의 과제: 신뢰 회복과 지속가능성 확보
18년 만에 이뤄진 연금 개혁의 첫 단추는 끼워졌지만,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완전히 담보하고 MZ세대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후속 논의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MZ세대의 불안과 연금 개혁의 과제
MZ세대는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깊은 불안감을 드러내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기금 고갈에 대한 우려와 제도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상황에서, 연금 개혁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MZ세대의 신뢰 회복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MZ세대가 국민연금에 대해 가장 우려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A.기금 고갈에 대한 우려와 현행 제도에 대한 불신이 가장 큰 우려로 나타났습니다.
Q.이번 연구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A.MZ세대의 구체적인 우려를 보여주고, 연금 개혁의 시급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Q.연금 개혁 이후, 어떤 과제가 남아있나요?
A.제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MZ세대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후속 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