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10·15 대책에도 꿈쩍 않는 서울 집값, 상승 심리 꺾이지 않아

뉴원101 2025. 11. 17. 17:50
반응형

10·15 대책 무색, 서울 부동산 시장 소비 심리 여전히 '상승'

10·15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부동산 시장 소비 심리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국토연구원의 10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주택 매매 시장 심리가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이는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높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10월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전국적으로 상승세

10월 전국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0.8로, 전월 대비 3.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특히 서울(137.5)은 수도권 상승세를 이끌며,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였습니다. 100을 넘으면 가격 상승 또는 거래 증가를 예상하는 응답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15 이상은 명백한 상승 국면으로 해석됩니다.

 

 

 

 

수도권, 상승세 주도: 서울, 인천, 경기 모두 상승

수도권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7.0으로, 전월 대비 5.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4.1포인트, 인천은 6.6포인트, 경기는 5.7포인트 각각 상승하며 수도권 전체의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규제 지역 지정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특히 서울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전세 시장도 '보합' 유지, 서울은 '상승' 전환

전국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9.0으로, 전월 대비 2.8포인트 상승하며 보합 국면을 유지했습니다. 수도권은 3.0포인트, 비수도권은 2.5포인트 각각 상승했습니다. 특히 서울은 115.8로 상승 국면으로 전환되어, 전세 시장의 안정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는 매매 시장의 상승 기대감과 맞물려, 전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10·15 대책의 영향, 다음 달 조사 결과에 주목

이번 조사는 10·15 대책 발표 이전 시장의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대책 시행 이후의 시장 변화는 다음 달 발표될 조사 결과에 본격적으로 반영될 예정입니다. 규제 강화가 실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서울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가 꺾일지 여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다음 달 발표될 조사 결과가 부동산 시장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결론: 규제에도 꺾이지 않는 서울 집값 상승 기대

10·15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부동산 시장 소비 심리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 달 발표될 조사 결과를 통해 규제의 실제 영향과 시장 변화를 면밀히 분석해야 할 것입니다.

 

 

 

 

핵심만 콕!

10·15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부동산 시장 소비 심리가 상승세를 보이며,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다음 달 발표될 조사 결과를 통해 규제의 실제 영향과 시장 변화를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0·15 부동산 대책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A.10·15 부동산 대책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내용을 포함합니다.

 

Q.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매달 마지막 주에 전국 152개 시군구에서 영업 중인 중개업소와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하며, 100을 넘으면 가격이 올랐거나 거래가 늘었다는 응답이 많음을 뜻합니다.

 

Q.다음 달 발표될 조사 결과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다음 달 발표될 조사 결과에는 10·15 대책 시행 이후의 시장 변화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므로, 규제의 실제 영향과 시장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