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잔혹한 도축 현장, 흑염소 500여 마리 불법 도축…소비자 건강 위협

뉴원101 2025. 10. 22. 20:45
반응형

흑염소 불법 도축, 충격적인 실태

제주에서 흑염소 500여 마리를 불법 도축해 유통한 업자들이 자치경찰에 붙잡혔습니다이들은 잔인한 방법으로 흑염소를 도살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가공하여 소비자들의 건강을 위협했습니다개 식용 금지 이후 흑염소 소비가 늘면서 불법 도축이 성행하고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흑염소 도축 현장의 충격적인 실태와 그 배경, 그리고 소비자 안전을 위한 대책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무허가 도축장의 실체

건강원을 공동 운영하는 A 씨(60대·남)와 B 씨(60대·남)는 서귀포시 남원읍 중산간 인적이 드문 곳에서 가축 도축업 허가 없이 컨테이너와 도축 설비를 갖추고 불법 도축장을 운영했습니다. 이들은 C 씨를 고용하여 2021년부터 올해 5월까지 D 씨, E 씨, F 씨가 도축 및 가공을 의뢰한 흑염소 500여 마리를 불법 도축했습니다. 특히, 전기충격기를 흑염소 입에 넣어 죽이는 등 잔혹한 방법으로 도살하여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잔혹한 도살 방법과 비위생적인 환경

불법 도축업자들은 흑염소의 기력이나 건강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심지어 배 속에 새끼가 있는 흑염소마저 잔혹하게 도축했습니다. 전기충격기를 사용하거나, 병든 흑염소를 도축하는 등 비윤리적인 행위가 만연했습니다. 이 불법 작업장은 녹슨 도살 장비와 흑염소 털 등 불순물로 가득 찬 배관 등 매우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운영되었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소비자들에게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불법 유통된 흑염소 제품의 문제점

D 씨가 판매한 흑염소즙 포장지에는 내용량, 원재료명 등 법적 표시사항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알 수 없게 만들어, 건강을 해칠 위험을 높입니다. 무허가 도축은 질병 검사를 거치지 않아 소비자가 전염병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불법 도축 가담 배경과 처벌

이들 일당은 개 식용 금지법 제정으로 흑염소에 대한 보양식 소비가 증가하면서 불법 도축에 적극 가담했습니다. 흑염소 수요 증가를 틈타 부당 이득을 취하려는 목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입니다. 현행법상 무허가 가축 도축업은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라 10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자치경찰은 이들이 챙긴 10억 원의 부당이득을 추징 보전할 방침입니다.

 

 

 

 

소비자 안전을 위한 노력과 당부

자치경찰은 부정 축산물 유통 행위에 엄정 대응하고 철저히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들이 안전한 축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불법 도축 근절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소비자들은 흑염소 제품 구매 시, 정식 허가를 받은 업체의 제품인지, 위생적인 환경에서 생산되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의심스러운 제품은 구매하지 않고, 관련 기관에 신고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핵심 내용 요약

제주 흑염소 불법 도축 사건은 잔혹한 도살 방법, 비위생적인 환경, 불법 유통 등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습니다. 개 식용 금지 이후 흑염소 소비 증가를 틈타 발생한 이 사건은 소비자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철저한 수사와 엄정한 처벌, 그리고 소비자들의 주의 깊은 선택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불법 도축된 흑염소 제품을 섭취하면 어떤 위험이 있나요?

A.무허가 도축은 질병 검사를 거치지 않아 전염병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며,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가공된 제품은 식중독 등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Q.소비자는 어떻게 안전한 흑염소 제품을 선택할 수 있나요?

A.정식 허가를 받은 업체의 제품인지 확인하고, 제품의 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위생적인 환경에서 생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불법 도축 관련 정보를 발견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해당 정보를 관련 기관에 신고하여 불법 행위를 근절하는 데 동참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