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월급 67만원, '유령' 취급… E-9 비자 외국인, 고용 절벽에 눈물

뉴원101 2025. 8. 2. 17:09
반응형

외국인 고용허가제 21년의 현실

21년간 시행된 외국인 고용허가제, 그 이면에는 30만 명의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들이 존재합니다이들은 한국에서 일하며 가족을 부양하지만, 열악한 환경과 고용 불안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최근 전남 나주에서 발생한 스리랑카 노동자 지게차 학대 사건은 이러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본 기사에서는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들의 고용 실태를 심층적으로 파헤치고, 그들이 겪는 어려움과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고용 절벽: 해고, 임금 체불, 그리고 '유령'

경기도 용인에서 해고된 인도네시아 청년 로우의 사례는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들이 겪는 고용 불안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월급을 받지 못한 채 해고당하고, 사업장 변경의 어려움, 부당한 대우 등은 이들의 현실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특히, 사업주 동의 없이는 사업장 변경이 불가능하며, 불성실 또는 업무 미숙이라는 꼬리표는 이들을 불법체류자로 내몰 위험을 높입니다.

 

 

 

 

열악한 근로 환경: 저임금, 장시간 노동, 그리고 무관심

타이의 사례는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들이 겪는 열악한 근로 환경을 보여줍니다. 연장근로수당 미지급, 위험한 기계 노출, 부당한 대우 등은 이들의 고통을 가중시킵니다심지어 출퇴근 기록이 인식되지 않아 '유령' 취급을 받거나, 67만원의 월급을 받으며 징계 해고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실은 고용허가제의 본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현대판 노예제라는 비판을 받게 합니다.

 

 

 

 

E-9 비자, 생존을 위한 선택

E-9 비자는 외국인 근로자에게 생명줄과 같습니다고향의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비자를 잃지 않기 위해 고통을 감내합니다3개월간 취업하지 못하면 불법체류자가 되어야 하는 현실은, 이들에게 더욱 절박한 상황을 강요합니다. 37만 7천여 명의 불법체류자, 그리고 매년 5만 명 수준의 E-9 비자 불법체류자 발생은, 제도 개선의 시급성을 보여줍니다.

 

 

 

 

제도 개선의 필요성: 인도적 관점과 지속 가능한 유입

외국인 근로자들이 이웃, 동료, 시민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시급합니다. E-7 비자와 같은 전문 인력 비자로의 확대, 불법체류자 양산을 막기 위한 노력, 그리고 외국인 인권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합니다. 김러셀 씨의 사례처럼, 외국인 근로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또한 중요합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120여 년 전 하와이 사탕수수밭에서, 60여 년 전 독일 탄광에서 일한 한국인 선배들과 같은 존재입니다. 그들의 땀과 눈물은 한국 사회의 일부가 될 것이며,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입니다. 외국인 근로자들을 향한 따뜻한 시선과 제도 개선을 통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핵심 요약: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의 고통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들은 고용 불안, 열악한 근로 환경, 그리고 불법체류의 위험에 놓여 있습니다이들의 고통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외국인 유입을 위해서는 제도 개선과 사회적 인식 변화가 절실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E-9 비자는 무엇인가요?

A.E-9 비자는 비전문취업 비자로, 고용허가제를 통해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에게 발급됩니다. 제조업, 건설업, 농축산업, 어업, 서비스업 등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Q.E-9 비자 외국인 근로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고용 불안, 저임금, 장시간 노동, 부당한 대우, 사업장 변경의 어려움, 불법체류의 위험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Q.E-9 비자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요?

A.제도 개선, 외국인 인권 보호, 사회적 인식 변화, 그리고 지속 가능한 외국인 유입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