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핵폭탄' 규제 예고… 과열된 집값, 정부의 강력 대응 시사
아파트값 상승, 추가 규제 가능성
서울 전역으로 아파트값 상승세가 확산하면서 정부가 조만간 추가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28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대출 규제 카드의 강도와 시점을 논의하고 있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값이 9·7 공급대책 발표 이후 다시 뚜렷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공급 대책의 한계와 시장 반응
공급 대책이 시장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자 관망하던 수요자들까지 매수세로 돌아서며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며 “추가 규제를 두고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상되는 규제 방안
금융위는 이미 전세대출이나 정책대출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하는 방안, 전세대출 보증비율을 추가로 낮추는 방안 등을 예고했다. 그러나 이들 조치는 이미 시장에 알려진 만큼 수요를 꺾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다. 예상 범위를 넘어서는 ‘강한 카드’가 나와야 ‘패닉 바잉’을 진정시킬 수 있다는 취지다.
강력 규제 가능성 및 현실적 어려움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현재 6억 원에서 4억 원으로 낮추는 방안이나 특정 주택가격 초과 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0% 규제를 부활시키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그러나 과거 ‘15억 원 초과 대출 금지’가 헌법재판소에 위헌 소송이 제기될 정도로 논란이 됐던 점을 감안하면 현실성은 낮다는 평가다. 주담대 한도를 갑작스럽게 수억원 낮추는 것도 금융당국으로서는 부담이다.
규제 지역 지정 가능성
서울 마포·성동구 등 ‘한강 벨트’와 경기 과천·분당 등 인기 지역이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정부는 이미 9·7 대책에서 규제지역 LTV를 50%에서 40%로 낮춰뒀다.
세제 대책의 필요성
전문가들은 세제 대책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이전부터 “세금으로 집값을 잡지 않겠다”고 공언해왔지만, 부동산 시장 심각성을 고려할 때 세제 정책이 불가피해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핵심 내용 요약
부동산 시장 과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추가 규제 방안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 규제 지역 확대, 세제 정책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정부가 추가 규제를 고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기존 공급 대책이 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시장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해 추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Q.어떤 규제 방안이 예상되나요?
A.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 LTV 0% 규제 부활, 규제 지역 확대, 세제 정책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사례를 볼 때 현실적인 어려움도 존재합니다.
Q.시장이 원하는 '강력한 카드'란 무엇인가요?
A.시장은 예상 범위를 넘어서는 강력한 규제를 원하고 있습니다. 밋밋한 대책으로는 시장의 과열을 진정시키기 어렵다는 판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