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범고래의 특별한 선물: '너도 먹어'… 인간에게 먹이를 주는 이유

뉴원101 2025. 7. 14. 09:07
반응형

범고래, 인간에게 뜻밖의 선물을 건네다

범고래를 관찰하던 연구진이 인간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독특한 모습을 확인했다. 전 세계 범고래에서 공통으로 관찰되는 이 행동은 인간과 친분을 쌓거나 인간을 탐색하는 행동으로 추측된다.

 

 

 

 

사례로 살펴보는 범고래의 행동

10일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캐나다 생물학 연구소 베이 시톨로지(Bay Cetology) 소속 연구원인 제러드 타워스는 범고래 한 쌍을 관찰하던 중 어린 암컷 한 마리가 자신의 앞으로 바닷새를 토해내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한다.

 

 

 

 

다양한 상황과 먹이 종류

인간에게 건넨 먹이 또한 △물고기 6종 △포유류 5종 △무척추동물 3종 △조류 2종 △파충류 1종 △해조류 1종 등으로 다양했다.

 

 

 

 

관심을 보이는 범고래

먹이를 건넨 범고래 중 97%가 인간이 어떻게 먹이를 처리하는지 5초가량(최소 3초~최대 300초) 가만히 지켜봤다. 만약 먹이를 받지 않으면 먹이를 재차 물어 인간에게 건네거나 그 먹이를 물고 자리를 떠났다.

 

 

 

 

야생 포식자의 특별한 행동

가축화된 고양이나 개가 인간에게 자신의 사냥감을 선물하는 일은 종종 관찰된다. 하지만 야생 포식자가 인간에게 먹이를 선물하는 사례는 거의 기록되지 않았다.

 

 

 

 

상호작용과 탐색의 가능성

타워스 연구원은 “범고래끼리도 종종 서로 먹이를 공유하는데 이는 친사회적 활동이며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이라면서 “범고래가 인간과도 먹이를 공유하는 것은 우리와 관계를 맺고자 하는 그들의 관심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호기심과 연구의 대상

타워스 연구원은 “호기심은 불확실성을 줄이는 요소 중 하나”라면서 “범고래는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인간에게 먹이를 주는 것은 우리의 반응을 시험해보는 것일 수 있다. 범고래가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결론: 범고래의 선물, 그 깊은 의미

범고래가 인간에게 먹이를 주는 행동은 단순히 먹이를 공유하는 것을 넘어, 관계를 맺고 호기심을 충족하려는 복합적인 시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종 간의 이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으며, 인간과 범고래 사이의 특별한 유대감을 시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범고래가 인간에게 먹이를 주는 행동은 왜 나타나는 걸까요?

A.연구진은 범고래가 인간과의 관계를 맺거나, 인간의 행동을 탐색하기 위한 시도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친사회적 행동의 일환일 수도 있고, 호기심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Q.범고래에게 먹이를 받는 것은 안전한가요?

A.아니요, 연구진은 범고래의 예상치 못한 반응을 고려하여, 먼저 접근하거나 먹이를 받는 행위는 삼가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지나친 접촉은 사람과 범고래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Q.이러한 행동이 갖는 과학적 의미는 무엇인가요?

A.이러한 행동은 '종 간 일반화된 이타성'의 비밀을 풀 열쇠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종을 돕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