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래커칠 복구 비용 논쟁: 학생들은 무엇을 원할까?
어수선한 동덕여대, 래커칠 시위 이후
서울 성북구 동덕여자대학교 100주년기념관 일대가 남녀공학 전환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래커 시위' 등으로 어수선한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학교는 래커칠로 인한 시설 피해 복구를 위해 고심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복구 비용 부담 주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복구 비용, 누가 부담해야 할까?
동덕여대 비상대책위원회가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725명 중 42.1%가 교비로만 래커칠 지우는 비용을 충당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들은 학교 측의 소통 부재를 이유로 들었다. 반면, 53.1%는 학생, 교수, 직원 등 학내 구성원들의 모금과 교비를 합쳐 시설 복구 비용을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들은 비용 마련의 어려움을 이유로 제시했다.

미화 작업의 필요성과 시급성
교내 래커칠 관련 미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무려 95.2%에 달했다. 미관상의 이유, 학교 이미지 개선, 그리고 곧 입학할 26학번 신입생들을 위한 배려 등이 그 이유로 꼽혔다. 래커칠 시설 복구 시점에 대해서는 85.5%가 '11~12월'을 희망하며, 빠른 시일 내에 래커칠이 지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했다.

설문조사 결과의 의미와 향후 전망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동덕여대 비대위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와 구체적인 시기와 비용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학교 측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시설 복구 계획을 수립하고, 학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학내 사안은 해결되지 않았지만, 학교와 학생 간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해 본다.

남녀공학 전환 논의와 래커칠 사태의 배경
지난해 11월, 동덕여대 학생들은 학교 측이 학생들과의 논의 없이 남녀공학 전환을 논의한 것에 반발하여 24일 동안 본관을 점거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캠퍼스 곳곳에 래커칠이 이뤄졌고, 학교 측은 약 54억 원의 피해 금액을 추산하여 학생들을 경찰에 고소했다. 이후 고소 6개월 만에 학생들에 대한 고소 취하서와 처벌불원서를 경찰에 제출하며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래커칠 복구, 동덕여대 학생들의 바람은?
동덕여대 래커칠 사태는 남녀공학 전환 논의 과정에서 불거진 학생들의 반발로 시작되었다. 현재 학교는 시설 복구를 위해 노력 중이며, 학생들은 복구 비용 부담 주체와 시기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미화 작업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학교 측과의 소통을 통해 원만하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자주 묻는 질문
Q.래커칠 복구 비용은 누가 부담해야 하나요?
A.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비로만 충당해야 한다는 의견과 학생, 교수, 직원들의 모금과 교비를 합쳐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학교 측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Q.래커칠 복구는 언제쯤 이루어질까요?
A.대다수의 응답자가 11~12월에 복구가 완료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학교와 비대위 간의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시기가 결정될 것입니다.
Q.이번 설문조사의 의의는 무엇인가요?
A.이번 설문조사는 래커칠 사태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교 측이 시설 복구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또한, 학교와 학생 간의 소통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