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에도 '영끌'은 계속된다: 주택담보대출 수요, 왜 줄지 않을까?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도, 주담대는 여전히 'ing'
최근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중심으로 한 대출 잔액은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6·27 부동산 대책과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몰렸던 수요가 순차적으로 집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월 말 대비 증가했으며, 주담대 잔액 역시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주담대, 증가 속도 둔화에도 여전한 존재감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0일 기준 755조7260억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6월 말보다 8912억원 늘어난 수치입니다. 하루 평균 891억원씩 증가한 셈으로, 지난달 일평균 증가액의 40% 수준입니다. 특히 주담대(전세자금 포함) 잔액은 1조3773억원 늘어 600조802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1377억원 증가한 것으로, 6월 대비 증가 속도는 72% 수준입니다. 반면 신용대출은 감소하며, 대출 항목별로 상반된 양상을 보였습니다.
규제와 시스템 정비, 일시적 둔화의 원인?
가계대출 규제 강화와 전산 시스템 개편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대출 실행이 중단된 시기가 있었습니다. 수도권 주담대 6억원 한도 등 규제의 영향도 있었지만, 6·27 대책 발표에 맞춰 전산시스템을 개편하느라 일부 기간 대출이 중단된 것도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주담대 실행이 월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흐름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출 신청 승인 건수, '영끌' 수요의 방증
가계대출 집행의 선행지표인 대출 신청 승인 건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부 은행에서는 오히려 승인 규모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A은행의 경우, 주담대 승인 건수와 금액이 6월 일평균보다 각각 27%, 39% 증가했습니다. B은행 역시 주담대 하루 평균 승인액이 전월을 웃돌았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6·27 대책 시행,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규제 적용을 앞두고 가계대출 신청이 대거 몰린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8~9월, 가계대출 증가세 꺾이지 않을 수도
은행들은 급증한 대출 신청 건을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심사한 뒤 승인하고 있습니다. 승인된 대출 건은 1~2개월의 시차를 두고 실제로 실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8~9월까지 크게 꺾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한국은행 역시 주택시장 과열로 인해 8~9월 가계대출 급증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대출 재개, '영끌' 심리를 자극할까?
지난달 말부터 전산 정비로 중단됐던 주담대·신용대출 접수가 이번 주부터 대부분 은행에서 재개되었습니다. KB국민은행은 6월 28일 이후 계약 건에 대해 대면·비대면 신청을 다시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주택 구매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으며, '영끌' 심리를 더욱 자극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결론: 대출 규제에도 꺾이지 않는 '영끌'의 끈
결론적으로,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수요는 여전히 견조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6·27 부동산 대책, 스트레스 DSR 시행 등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주택 구매 심리가 쉽게 꺾이지 않음을 시사합니다. 앞으로의 시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적절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6·27 부동산 대책 시행, 스트레스 DSR 적용, 금리 인상 가능성 등 대출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Q.주담대 수요가 여전히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A.주택 구매 심리가 여전히 높고, 규제 시행 전에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세자금 수요도 주담대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Q.앞으로 가계대출 시장은 어떻게 전망되나요?
A.전문가들은 8~9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다만, 금리 인상, 추가 규제 등 변수가 많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합니다.